카테고리 없음 / / 2023. 7. 11. 09:00

더 고소한 콩국수

반응형

그릇에 콩국수가 담겨진 사진

콩은 식물성 단백질의 공급원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무더운 여름에 콩국수는 보양식이라고 할 정도로 건강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맛도 좋아서 찾는 사람이 많은 여름메뉴입니다. 영양이 풍부한 콩을 이용한 콩국수를 더 맛있게 하기위해 통깨를 추가해서 더 고소한 콩국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콩의 영양에 대해서 알고 먹는다면 건강에 더 도움이 될것입니다.

재료

백태 2,(서리태) 잣 4 큰술, 볶은 깨 4 큰술, 국수 400g

만들기

우선 백태 2컵을 물 8컵에 넣고 8시간 이상 불려 줍니다. 2컵을 불리면 5컵이 됩니다. 물에 불린 콩은 손으로 비벼서 콩 껍질을 대충 벗긴 후 콩 껍질은 버리고 물 10컵과 함께 삶아 줍니다. 뚜껑을 열고 끓여야 합니다. 끓기 시작해서 5분간만 끓이고 불을 꺼 줍니다. 5분간 끓인 콩은 3분간 그냥 그대로 뜨거운 채로 둡니다. 뜸을 들이듯이 두면 콩이 더 고소해집니다.  콩을 뜸 들이는 동안 국수를 삶아 줍니다. 국수를 삶아서 찬물에 헹군 후 채에 받쳐서 물기를 빼 줍니다. 뜸을 들인 삶은 콩을 찬물에 한번 행군 후 블랜더에 곱게 갈아 줍니다. 이때 잣과 통깨도 같이 넣고 갈아줍니다. 물의 비율은 콩 1컵에  생수 3과 1/2 또는 4컵이 좋습니다. 완성된 콩 국물에 소금으로 입맛에 맞게 간을 맞춥니다. 준비된 그릇에 물기를 뺀 국수를 먼저 담고 콩 국물을 부어 줍니다. 국수위에 오이채나 수박채를 올리고 통깨를 조금 뿌려 주면 더 먹음직스럽습니다.

주의할 점

1. 콩을 불릴 때 기온이 낮은 겨울에는 2 ~ 3시간 더 불려 주면 좋습니다.

2. 콩을 삶을 때 뚜껑을 열고 삶는 이유는 사포닌 때문입니다. 사포닌 성분은 거품이 많이 나서 끓어 넘치기 쉽습니다.

3. 뜸들이면 더 고소한 콩국물이 되고 시간여유가 있다면 삶은 콩을 그대로 식혀서 국물과 함께 갈아 주면 맛과 영양을 더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팁을 드리면 불린 콩을 밤에 삶아서 뚜껑 덮은 채로 그대로 식혀 두었다가 아침에 갈아주면 삶은 물도 함께 이용할 수 있으며 더 고소한 콩국수를 먹을 수 있습니다.

4. 국수를 맛있게 삶는 방법은, 물이 끓어오르면 국수를 넣어줍니다. 젓가락으로 서로 붙지 않게 저어서 풀어주고 잠시 기다렸다가 물이 끓어올라 넘치려고 하면 찬물을 한 컵 부어줍니다. 이렇게 끓어오르면 찬물 붓는 것을 3번 반복한 후 국수를 건져서 찬물로 비벼서 씻어 줍니다. 국수를 세게 비벼 씻어주면 전분기를 빼 주어서 더 쫄깃하고 맛있는 국수가 됩니다.

5. 콩은 꼭 백태가 아니어도 됩니다. 서리태를 이용해도 맛있고 특별한 콩국수를 먹을 수 있습니다.

6. 콩 껍질을 제거 하면 더 부드럽고 고운 콩 국물을 먹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콩 껍질에도 영양가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영양을 생각한다면 콩 껍질을 함께 넣고 곱게 갈아주면 좋습니다.

7. 통깨의 고소함은 익숙한 맛이지만 콩과 함께 갈아주면 더 고소한 콩국물을 만들어 줍니다.

8. 잣은 가격도 비싸고 보관을 잘 못 하면 쩐 내도 나기 때문에 꼭 넣지 않아도 좋습니다. 하지만 잣을 넣어주면 고급스럽고 더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콩의 영양

콩에 들어 있는 단백질의 양은 농작물 중에서 최고입니다. 아미노산의 종류도 육류에 비해 손색이 없다고 합니다. 콩에는 비타민 B군이 특히 많고 비타민 A 와 비타민 D도 들어 있지만 비타민 C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콩이 콩나물로 자라면 싹이 돋는 사이 성분의 변화가 생겨 비타민C 가 풍부해진다고 합니다. 세계 장수촌 중 하나인 에콰도르의 빌카밤바는 질병이 없는 면역의 섬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지역의 장수 비결은 콩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원광대학 보건대학원의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장수 마을의 공통점은 콩과 마늘의 수확량이 많은 지역이라고 합니다. 콩은 단백질 35 ~ 40%, 지방 15 ~ 20%, 탄수화물 30% 가량으로 구성되며 그 외에 다양한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익히지 않은 콩을 먹으면 거의 소화가 되지 않지만 익혀서 먹으면 65%가량 소화 흡수가 되며 된장은 80% 정도 두부는 90% 정도 소화 흡수가 됩니다. 콩의 단백질과 함께 콩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불포화 지방산의 작용으로 LDL과 중성지방을 낮추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HDL의 수치는 높이는 것으로, 콩 섭취가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고 합니다. 콩의 이소플라본은 뼈의 파괴를 막고 골밀도를 높이는 작용을 하여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콩의 칼슘은 흡수가 잘되어 더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특히 검은콩 껍질에는 노란 콩에는 없는 글리시테인이라는 항암 물질이 들어 있다고 합니다. 여름이 되면 사람들이 즐겨 찾는 콩국수는 땀과 더위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음식입니다. 입맛이 없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 여름에 지친 심신에 활력을 주는 보양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름에는 땀으로 체내의 질소가 다량 배출되어 단백질 보충이 필요합니다. 콩은 칼로리와 지방질 당질은 적은반면 단백질은 풍부하게 포함된 고단백 저지방의 대표적인 식품으로 피로해소에 도움을 주고 혈관을 튼튼하게 유지시켜 동맥경화예방과 노화지연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